Skip to main content
Version: Next

설정 가이드

인스턴스 생성

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사용자 모드 >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2. 화면 상단의 인스턴스 생성 을 클릭합니다.

  3. 인스턴스 생성 화면이 출력됩니다. 인스턴스의 기본 사항을 설정합니다.

    • 기본 설정
      • 인스턴스 이름: 인스턴스의 이름
      • 인스턴스 템플릿: 인스턴스 템플릿을 이용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할 경우, 템플릿 선택
      • 인스턴스 개수: 생성할 인스턴스의 개수 (기본값: 1)
  4. 인스턴스의 가상 하드웨어를 설정합니다.

    • 가상 하드웨어 설정
      • 플레이버: 인스턴스의 사양
      • CD-ROM: 인스턴스에 가상 CD-ROM 드라이브를 추가할 경우, + 클릭. 최대 4개까지 추가 가능. ISO 이미지를 사용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하려면 CD-ROM 드라이브 추가 후, 이미지 선택.
      • 디스크: 인스턴스에 사용할 운영체제가 설치된 이미지 혹은 볼륨 선택. (기본값: 이미지)
        선택한 유형에 따라 나머지 설정 항목이 달라짐.
        • 시스템 디스크: 시스템 디스크의 볼륨 타입과 크기. 인스턴스와 함께 삭제 옵션 선택 시, 인스턴스를 삭제하면 디스크도 함께 삭제.
          • 볼륨 타입: 시스템 디스크의 볼륨 타입 (기본값: 2-Replica)
          • 사이즈: 시스템 디스크의 크기
          • 부팅 방식
            • 이미지: POPCON HCI에 저장된 이미지로 부팅
            • 부팅 가능한 볼륨: 부팅 가능한 볼륨으로 부팅
            • 빈 볼륨: 볼륨이 비어 있는 상태로 부팅
        • 데이터 디스크: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디스크 추가
          • 빈 볼륨: 빈 볼륨을 데이터 디스크로 추가
            • 볼륨 타입: 데이터 디스크의 볼륨 타입 (기본값: 2-Replica)
            • 사이즈: 데이터 디스크의 크기
          • 기존 볼륨: 기존에 생성된 볼륨 중에서 미사용 중인 볼륨을 데이터 디스크로 추가
      • USB: 물리 호스트에 장착된 USB를 인스턴스에 연결
      • 전원 상태: 인스턴스 생성 후, 전원 On/Off 여부 (기본값: On)
  5. 인스턴스가 동작할 네트워크를 설정합니다.

    • 네트워크 설정
      • 네트워크
        • 현재 프로젝트 네트워크: 현재 프로젝트에 속한 네트워크 (기본값)
        • 공유 네트워크: 전체 프로젝트에서 사용 가능한 네트워크
        • 외부 네트워크: 라우터와 연결된 외부 네트워크
        • 전체 네트워크: 선택 가능한 전체 네트워크
      • 가상 LAN: 사용할 주소 할당
        • 자동 주소 할당: 자동으로 주소 할당 (기본값)
        • 수동 주소 할당: 수동으로 주소 할당
      • 포트: 인스턴스 추가 통신 채널을 위한 포트 설정
      • 보안 그룹: 인스턴스의 보안 그룹 지정. ? 아이콘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린 후, 새로운 보안 그룹 생성 을 클릭하여 보안 그룹 추가 가능.
  6. 인스턴스의 부가 기능을 설정합니다.

    • 부가 기능 설정
      • HA 기능 활성화: 인스턴스의 HA(High Availability) 기능 활성화 여부 (기본값: 비활성화)
        • 예약 호스트 지정: HA 기능 활성화 시, 인스턴스를 이전할 호스트 선택
      • 라이브 리사이즈 기능 활성화: 라이브 리사이즈 기능의 활성화 여부. 리사이즈 기능과 달리 인스턴스를 종료하지 않은 상태로 플레이버 변경 가능.
        • 최대 CPU: 라이브 리사이즈 기능 활성화 시, 인스턴스에 할당할 최대 CPU 개수 (기본값: 32)
        • 최대 메모리(GB): 라이브 리사이즈 기능 활성화 시, 인스턴스에 할당할 최대 메모리 용량 (기본값: 64)
      • 자동 리밸런싱 기능 활성화: 자동 리밸런싱 기능의 활성화 여부. 자동 리밸런싱은 CPU 사용률이 높은 물리 호스트에서 낮은 물리 호스트로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이동하는 기능. 인스턴스 생성 이후에는 관리자 모드에서만 활성화 여부 변경 가능. (기본값: 비활성화)
        • 자동 리밸런싱 설정 정보를 조회하거나 동작 조건을 설정하려면 관리자 모드 > 시스템 > 시스템 설정 메뉴의 자동 리밸런싱 탭으로 이동.
      • 고급 옵션
        • 로그인 타입: 가상 머신에 로그인 하는 방법 선택 (기본값: SSH 키 페어)
          • SSH 키 페어: SSH 키 페어를 이용한 로그인
          • 비밀번호: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
            • 로그인 비밀번호: 로그인 비밀번호 생성 (로그인 타입을 ‘비밀번호’로 선택 시 나타남)
            • 비밀번호: 확인 입력한 비밀번호 확인 (로그인 타입을 ‘비밀번호’로 선택 시 나타남)
            • 비밀번호 확인: 비밀번호 재입력
      • 물리 호스트 지정 방식: 인스턴스가 생성될 물리 호스트 선택 방법 (기본값: 스마트 스케쥴링)
        • 스마트 스케쥴링: 물리 호스트를 자동으로 지정하여 인스턴스를 생성
        • 수동 지정: 물리 호스트를 수동으로 지정하여 인스턴스를 생성
          • 물리 호스트: 인스턴스가 생성될 물리 호스트 선택
      • 서버 그룹: 동일한 다른 물리적 노드에 클라우드 호스트를 생성
      • 사용자 데이터: 인스턴스 설치가 완료된 후 동작할 스크립트. 파일에 저장된 스크립트가 동작되도록 하려면 로컬 파일에서 읽기 를 클릭한 후, 파일 선택.
  7. 확인 을 클릭합니다.

info

Windows 11 인스턴스는 다음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

  • 인스턴스 고가용성
  • 자동 리밸런싱

info

GPU가 할당된 인스턴스는 다음 기능을 지원하지 않습니다.

  • 인스턴스 고가용성
  • 라이브 리사이즈
  • 스마트 스케줄링
  • 자동 리밸런싱

인스턴스 콘솔 접속

인스턴스에 콘솔로 접속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2. 접속할 인스턴스의 작업 컬럼에서 콘솔 을 클릭합니다.

  3. <콘솔로 이동> 창이 출력됩니다. 확인 을 클릭합니다.


인스턴스 상태

인스턴스 상태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2. 인스턴스 목록에서 상태를 변경할 인스턴스를 선택하고 작업 컬럼의 [더보기 > 인스턴스 상태] 항목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 놓습니다.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• 중지: 인스턴스 종료(Shutdown)
    • 잠금: 인스턴스 상태를 변경, 삭제, 수정하는 것을 방지
    • 활성화: 상태가 Error인 인스턴스를 Active 상태로 변경. 활성화로 변경 후에 인스턴스 재부팅 권장.
      이 옵션은 인스턴스의 상태만 변경하는 것이며, 에러를 해결하는 기능은 아님. 실제로는 인스턴스가 정상 동작하지만 상태가 Error로 출력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옵션이며, 정상 동작하지 않는 인스턴스인 경우에는 활성화 후에 재부팅이 불가능함.
    • 재부팅: 인스턴스 재시작
    • 소프트 재부팅: 인스턴스 운영체제를 통해 재시작
    • 일시 중지: 실행 중인 인스턴스를 멈춤(Pause). 인스턴스의 메모리 상태가 RAM에 유지되고 디스크에는 저장되지 않음. 짧은 시간 동안 중지해야 하는 경우에 적합.
    • 일시 정지: 인스턴스의 현재 상태를 디스크에 저장하고 실행 중단(Suspend). 인스턴스의 메모리 상태가 유지되며, 나중에 동일한 상태로 복원.
    • Shelve: 인스턴스 현재 데이터를 스냇샵으로 저장 후 인스턴스 종료

리소스 연결

인스턴스에 리소스를 연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2. 작업 컬럼의 [더보기 > 리소스 연결] 항목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 놓습니다.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• 인터페이스 연결: 외부와 연결할 인터페이스 생성
    • 인터페이스 연결 해제: 인터페이스 해제
    • 볼륨 연결: 인스턴스와 볼륨 연결
    • 볼륨 연결 해제: 인스턴스와 연결된 볼륨 해제
    • 유동 IP 관리: 인스턴스와 유동 IP 연결 관리
    • 보안 그룹 관리: 인스턴스에 적용된 보안 그룹 관리
    • CD-ROM 관리: 인스턴스의 가상 CD-ROM 연결 관리. CD-ROM 추가, 삭제는 인스턴스가 Shut off 상태인 경우에만 가능.

설정 업데이트

인스턴스의 설정을 업데이트 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2. 작업 컬럼의 [더보기 > 설정 업데이트] 항목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려 놓습니다.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• 리사이즈: 인스턴스의 플레이버 변경
    • 라이브 리사이즈 설정 변경: 인스턴스의 라이브 리사이즈 활성화 여부 및 최대 CPU, 최대 메모리 재설정.
    • 비밀번호 변경: 인스턴스 OS의 관리자 비밀번호 재설정
    • 인스턴스 재빌드: 관리자가 이미지의 메타데이터를 변경한 경우, 이를 현재 인스턴스에 적용.
    • 인스턴스 고가용성: 인스턴스 고가용성 기능 설정

info

이미지의 메타데이터를 변경하려면 관리자 모드 > 컴퓨트 > 이미지 > 작업 > 더보기 메뉴에서 메타데이터 관리 를 클릭합니다.


스냅샷 생성

스냅샷은 기존에 생성되어 있는 인스턴스의 현재 상태를 보존하여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이미지입니다. 스냅샷을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사용자 모드 >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2. 작업 컬럼에서 [더보기 > 스냅샷 생성] 을 클릭합니다.

  3. <스냅샷 생성> 창이 출력됩니다.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• 인스턴스: 원본 인스턴스의 이름
    • 스냅샷 이름: 새로 생성할 스냅샷의 이름
  4. 확인 을 클릭합니다.

  5. 생성된 스냅샷은 컴퓨트 > 이미지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스냅샷 이미지는 형식이 SNAPSHOT으로 출력됩니다. 해당 이미지를 통해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.


인스턴스 기타 설정

인스턴스 태그 또는 상세 정보를 수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사용자 모드 >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2. 작업 컬럼에서 더보기에 마우스 포인터를 올립니다.

    • 인스턴스 태그 수정: 인스턴스 태그 작성 또는 수정
    • 수정: 인스턴스 상세 정보 수정
  3. 확인 을 클릭합니다.


인스턴스 삭제

인스턴스를 삭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사용자 모드 >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2. 작업 컬럼에서 더보기 > 삭제를 클릭합니다.

  3. 삭제 확인 창이 출력되면 확인 을 클릭합니다.

info

강제 삭제 옵션을 선택하면 내부적으로 삭제 절차를 확인하지 않고 강제로 삭제합니다. 해당 옵션은 인스턴스가 삭제되지 않을 경우에만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.


마이그레이션

운영 모드가 관리자 모드인 경우 마이그레이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마이그레이션을 이용해 관리자는 가상 머신 인스턴스를 다른 호스트로 이동할 수 있으며, 특정 호스트에서 많은 인스턴스가 실행 중인 경우 부하를 재분배 하는데 유용할 수 있습니다. 마이그레이션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관리자 모드 >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2. 작업 컬럼에서 [더보기 > 마이그레이션] 을 클릭합니다.

  3. <마이그레이션> 창이 출력됩니다.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• 인스턴스: 마이그레이션할 인스턴스 이름
    • 현재 컴퓨트 호스트: 현재 인스턴스가 동작 중인 호스트 이름
    • 목적지 컴퓨트 호스트: 인스턴스를 이동할 호스트 선택
  4. 확인 을 클릭합니다.

  5. 인스턴스의 호스트가 변경됩니다.

info

마이그레이션은 인스턴스가 종료된 다음 다른 호스트로 이동합니다.


라이브 마이그레이션

운영 모드가 관리자 모드인 경우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인스턴스에서 실행 중인 어플리케이션을 중지 하지 못 할 때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을 이용하여 다른 호스트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. 라이브 마이그레이션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관리자 모드 >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2. 작업 컬럼에서 [더보기 > 라이브 마이그레이션] 을 클릭합니다.

  3. <라이브 마이그레이션> 화면이 출력됩니다.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• 인스턴스: 마이그레이션 할 인스턴스 확인
    • 현재 컴퓨트 호스트: 현재 인스턴스가 생성된 호스트 확인
    • 목적지 컴퓨트 호스트: 인스턴스를 이동할 호스트 선택
  4. 설정을 완료하면 확인 을 클릭합니다.


자동 리밸런싱

운영 모드가 관리자 모드인 경우 자동 리밸런싱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 자동 리밸런싱은 CPU 사용률이 높은 물리 호스트에서 낮은 물리 호스트로 인스턴스를 자동으로 이동하는 기능입니다.

자동 리밸런싱을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관리자 모드 >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2. 작업 컬럼에서 [더보기 > 자동 리밸런싱 설정 변경] 을 클릭합니다.

  3. <자동 리밸런싱 설정 변경> 창이 출력됩니다. 활성화 여부를 설정합니다.

  4. 확인 을 클릭합니다.

  5. 자동 리밸런싱 기능의 설정 정보를 조회하거나 동작 조건을 설정하려면 [관리자 모드 > 시스템 > 시스템 설정] 메뉴의 자동 리밸런싱 탭으로 이동합니다.


인스턴스 생성 (VMware vSphere)

VMware vSphere 클러스터에서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관리자 모드에서 vSphere 클러스터를 선택합니다.

  2.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3. 화면 상단의 인스턴스 생성 을 클릭합니다.

  4. 인스턴스 생성 화면이 출력됩니다.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• 기본 정보
      • 이름: 인스턴스의 이름
      • 데이터센터: vSphere 데이터 센터의 이름
      • 폴더: 인스턴스가 저장될 폴더
    • 계산 리소스
      • 호스트: 물리 호스트의 IP 주소
      • 리소스 풀: 리소스 풀의 이름
    • 스토리지
      • 데이터 저장소: 데이터 저장소의 이름
    • 운영체제
      • 운영체제: 인스턴스의 운영체제
    • 하드웨어 사용자 지정 - 가상 하드웨어
      • CPU: 인스턴스에 할당할 CPU 코어 수 (설정 범위: 1~48, 기본값: 2)
      • 메모리: 인스턴스에 할당할 메모리 크기. 256으로 나눌 수 있는 값만 입력 가능. (설정 범위: 256~24320(MB), 기본값: 1024)
      • 가상 디스크: 인스턴스에 할당할 가상 디스크. 최대 15개까지 설정 가능.
        • 사이즈: 가상 디스크의 크기 (단위: GB)
      • 네트워크: 인스턴스에 할당할 네트워크 어댑터. 최대 20개까지 설정 가능.
      • CD/DVD 드라이브: 인스턴스에 할당할 가상 CD/DVD 드라이브. 최대 2개까지 설정 가능.
        • 클라이언트 디바이스: 가상 CD/DVD 드라이브가 비어 있는 상태로 인스턴스에 할당
        • ISO 이미지 추가: 데이터스토어에 저장된 ISO 이미지 파일 삽입
  5. 확인 을 클릭합니다.


인스턴스 마이그레이션 (VMware vSphere)

VMware vSphere 클러스터에서 POPCON HCI로 인스턴스를 마이그레이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1. 관리자 모드에서 vSphere 클러스터를 선택합니다.

  2.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를 클릭합니다.

  3. 마이그레이션할 인스턴스의 작업 컬럼에서 더보기 > 마이그레이션 을 클릭합니다.

  4. <마이그레이션> 창이 출력됩니다. 각 항목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.

    • 인스턴스명: 마이그레이션할 인스턴스의 이름
    • 프로젝트명: 인스턴스가 속할 프로젝트 이름
    • 새 인스턴스명: 새로운 인스턴스의 이름
    • 가용 영역: 인스턴스의 가용 영역
    • 플레이버: 인스턴스의 플레이버(사양)
    • 네트워크: 인스턴스가 속할 프로젝트
    • 로그인 타입: 인스턴스 로그인하는 방법
      • SSH 키 페어: SSH 키 페어를 이용한 로그인 (기본값)
      • 비밀번호: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로그인
        • 로그인 비밀번호: 로그인 비밀번호 생성 (로그인 타입을 ‘비밀번호’로 선택 시 나타남)
        • 비밀번호: 확인 입력한 비밀번호 확인 (로그인 타입을 ‘비밀번호’로 선택 시 나타남)
        • 비밀번호 확인: 비밀번호 재입력
    • HA 기능 활성화: 인스턴스의 고가용성 기능 활성화 여부 (기본값: 비활성화)
      • 예약 호스트 지정: HA 기능 활성화 시, 인스턴스를 이전할 호스트 선택
    • 고급 옵션:
      • 물리 호스트 지정 방식: 인스턴스가 생성될 물리 호스트 선택 방법 (기본값: 스마트 스케쥴링)
        • 스마트 스케쥴링: 물리 호스트를 자동으로 지정하여 인스턴스를 생성
        • 수동 지정: 물리 호스트를 수동으로 지정하여 인스턴스를 생성
          • 물리 호스트: 인스턴스가 생성될 물리 호스트 선택
      • 사용자 데이터: 인스턴스 설치가 완료된 후 동작할 스크립트. 파일에 저장된 스크립트가 동작되도록 하려면 로컬 파일에서 읽기 를 클릭한 후, 파일 선택.
  5. 확인 을 클릭합니다.

  6. 마이그레이션이 진행됩니다. 마이그레이션 진행 현황은 마이그레이션 상태 컬럼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  7. 마이그레이션이 완료된 인스턴스는 POPCON HCI 클러스터의 컴퓨트 > 인스턴스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